안녕하세요
올해부터는 퀀트투자 계좌도 하나 만들어서 굴려보려고 하는데요
제가 정한 규칙이 있습니다. 그 규칙에 맞게 매달 일정금액씩 매수를 하려고 하는데요
거기에 가장 기본이 되는 첫번째 규칙. 'F Score'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.
F-Score는 'Joseph Piotroski(조셉 피오트로스키)' 라는 사람이 2000년도에 발표한 논문에서 공개된 지표입니다.
총 9개 까지의 지표를 가지고 점수를 매기는 전략인데
단순하게 9개의 지표 중 1개를 충족하는 기업이라면 F-score 1점, 5개를 충족하면 F-socre 5점.
이런 형식입니다.
9개의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.
1 | 당기순이익이 0 이상인가 | 수익성 |
2 | 영업현금흐름이 0 이상인가 | 수익성 |
3 | ROA가 전년대비 증가했는가 | 수익성 |
4 | 영업현금흐름이 순이익보다 높은가 (영업현금흐름-수익성>0) | 수익성 |
5 | 부채비율이 전년대비 감소했는가 | 안정성 |
6 | 유동비율이 전년대비 증가했는가 | 안정성 |
7 | 당해 신규주식 발행을 하지 않았는가 | 안정성 |
8 | 매출총이익이 전년대비 증가했는가 | 효율성 |
9 | 자산회전율이 전년대비 증가했는가 | 효율성 |
이렇게 9개의 지표가 3개의 섹터로 나눠집니다.
F-Score를 통하여 기업의 수익성, 안정성,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것입니다.
조셉 피오트로스키는 재무제표를 분석하여 기업의 재무상태와 현금흐름이 우량한 기업을 찾는 것이 핵심이라고 생각한 것입니다.
순이익이 발생하면서 이에 맞는 현금흐름이 발생하고 있는지,
과도한 레버리지를 사용하고 있는지는 않은지,
이러한 것이 개선되고 있는 지 등을 지표를 통해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것입니다.
실제 검색을 해보면 F-Score를 통한 백테스팅을 했을 때
F-score 5점이상 부터는 유의미한 결과를 내주었습니다.
하지만 대부분 소형주에서 많은 수익이 나왔습니다.
저는 개인적으로 F-score만으로는 조금 부족하다고 느껴서
퀀트투자를 진행할 때 제일 처음 스크리닝하는 용도로 사용하기로 하였습니다.
F-Score 6점 이상의 주식종목에 대해서만 다음단계로 넘어갈 기회를 주는 것입니다.
F-Score를 토대로 제가 설정한 전략을 설명드리며 함께 퀀트투자를 진행해보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
'주식투자 > 주식투자 공부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성공하는 주식 종목 선정기준 _나만의 기준을 세우자 (0) | 2021.10.17 |
---|---|
ETF를 투자위한 필수개념! 괴리율, NAV, 추적오차율 (0) | 2021.10.04 |
댓글